유전학
03 유전학
국과수 유전자과는 국제적으로 신뢰받고 있는 국내 최고의 DNA 감식기관으로, 신원확인을 비롯한 각종 사건·사고
해결에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해오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 최고 수준의 DNA 감식기관의 위상에 걸맞게 최신
법과학적 기법 도입과 함께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내용
-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NGS)를 이용한 각종 유전자형 분석법 개발 및 연구
- 생물(동물, 식물, 미생물)의 종식별 및 개체식별 관련 연구
- 각종 유전자형(성염색체, 미토콘드리아 DNA, Y 염색체 등) 분석기법 개발을 통한 한국인 유전자형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운영에 대한 연구
- 수사지원 DNA 정보(머리카락 색, 눈동자 색, 피부 색, 생물지리학적 기원 추정, DNA 몽타쥬, 연령
추정, 인체분비물 식별 등) 분석 연구 및 NGS 등 첨단 분석장비의 법과학적 유효성 검토
주요 추진과제
연구성과
- Aptasensor를 이용한 여성 특이적인 혈흔 식별 기술법 개발
- 새로운 STR 및 Y-STR 분석키트의 유효성 검토 및 한국인 집단유전학적 연구
- Epigenetic marker를 이용한 인체유류체액 식별법의 다 기관 유효성 평가
- DNA methylation 분석기법을 이용한 성범죄 사건의 체액식별 사례 연구
- 한국인 17 Y-STR 단상형의 비정형 대립유전자 관찰 연구
- 한국인에서 15개 STR 유전자형을 이용한 형제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 ABO 혈액형 유전자형 신속 감정 기법 개발
- 외국산 가오리와 국내산 홍어 감별 기법 개발
기대효과
- 최신 유전자형 분석법 개발 및 도입을 통한 법과학적 감정업무의 체계화
- 다양한 분야(사람, 동물, 식물, 미생물 등)의 연구 성과 활용으로 유전자 분석결과의 신뢰성 제고
- 연구결과를 상용 제품으로 개발하여 국내 법과학 산업 발전에 기여
안전
07 안전
산업기술의 고도화에 따라 관련 시설의 대형화·규모화가 이뤄지고 안전사고 또한 대형화되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고
있으며, 범죄사건 또한 다양화되고 첨단화되어 이에 대한 분석기법의 첨단화ㆍ고도화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안전사고ㆍ화재조사ㆍ총기ㆍ폭발물ㆍ공구흔ㆍ족적ㆍ지문ㆍ혈흔형태 대한 연구ㆍ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내용
- 형사 사건의 물리적 증거 해석 향상을 위한 형태학적 흔적 연구
- 붕괴사고 해석 모델 개발
- 안전사고 재현을 위한 시각화 교재 개발
- 화약을 이용한 사제총기류의 위력 평가 및 DB 구축
주요 추진과제
형태학적 흔적 증거의 동일성 판단
- 공구흔, 족적, 지문, 혈흔형태 등의 흔적 증거는 용의 공구를 추정하고, 용의 대상물이 제시될 경우
동일성 감정을 통해 사건 해결이 가능한 중요 증거분야
- 공구흔, 족적, 지문 동일성에 대한 통계적 기법 및 신뢰성 향상 및 혈흔형태의 생성원리에 따른 가해자
판단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
외력작용원(폭발, 충격 등)에 의한 붕괴해석 기법 연구
- 최근 붕괴사고 수사는 파손에 따른 붕괴현상 감정뿐만 아니라 설계와 시공 상의 과실여부 규명을 필요로
하여, 붕괴과정의 가시적인 재현 요구가 증대하는 추세
- 개발 완료한 AEM을 이용한 해석모델* 연구방법을 응용하여, 건물 내부에 외력 작용원이 있었을 경우의
붕괴해석 모델 정립
예시
- -종로3가역 호텔 철거현장 붕괴사고(’17.1.) 시 세계 최초 도입
화약을 이용한 사제총기류의 위력 평가 및 DB 구축
- 2016년 1월에 직무 수행 중인 경찰이 사제총기에 의해 사망한 ‘오패산 총격 사건’이 발생함에 따라,
사제총기의 위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 마련의 필요성 대두.
- 사제총기의 제작 소재나 탄환의 크기 및 화약의 종류와 사용량에 따른 위력을 계량화 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고, 제작된 사제총기의 형태 및 종류에 따른 위력 data base를 구축함
예시
- -스텐파이프와 푹죽화약을 이용한 사제총기의 발사시험과 젤라틴 블록 관통력 측정
연구성과
- 공구흔, 족적, 지문, 혈흔형태에 대한 보다 신뢰성 있는 판단기법 확립
- 붕괴해석기법을 종로 붕괴사고, 역삼동 붕괴사고 감정에 적용
- 시판 폭죽화약을 이용한 사제총기의 위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 및 사제총기 위력 DB
구축
기대효과
- 공구흔, 족적, 지문, 혈흔형태를 통한 현장재구성 및 가해자 판단으로 형사사건 해결에 기여하고, 법정에서
동일성에 대한 법과학적 판단기준 제시
- 안전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과학수사 감정업무의 체계화 및 사고 예방책 제시
- 국내 대테러 유관기관과의 사제총기사건 자료 공유로 대테러 전술 개발 기여
디지털
08 디지털
다양한 형태로 저장되는 디지털데이터와 얼굴, 걸음걸이, 목소리, 필적 등의 직접적 혹은 간접적 생체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분야입니다.
또한 출력·인쇄물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기록물, 문화재, 미술품 및
디지털정보로 저장된 데이터 등의 위변조검출에 대한 연구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감정기법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내용
- ICT 융합 디지털포렌식 연구
- 문서, 문화재, 미술품 위변조 감정에 관한 다양한 데이터 수집 및 감정결과를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도출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
- 3차원 기반 영상 내 용의자의 특징 분석 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
- 음성의 법과학적 동일인 여부 확인의 최적화 방법에 관한 연구
- 디지털사진 위변조 판독기법 및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주요 추진과제
ICT 융합 디지털 포렌식 연구
- 디지털 증거물 무결성 확보에 대한 연구
- 고도화된 얼굴 인식 연구
- 디지털데이터의 위변조방식의 고도화에 대응하여 객관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위변조 검출 기법 연구
위변조 감정에 관한 다양한 데이터 수집 및 감정 방법론 정립에 관한 연구
- 위변조 관련 감정에 대한 수치화 데이터를 이용한 정량적인 분석을 도출하는 연구
3차원 기반 영상 내 용의자의 특징 분석 기술 개발
- 영상 내 용의자의 특징 분석을 위한 데이터 취득 및 분석
- 영상 내 용의자의 특징 계측 방법 개발
- 걸음걸이와 신발 바닥 마모 정도의 상관성 분석
음성의 법과학적 동일인 여부 확인의 최적화 방법에 관한 연구
- 보이스피싱 신고 음성 데이터를 활용한 자동화자 인식 엔진 개발
- 채널 및 잡음 환경에 따른 자동화자 인식기 성능 실험
- 법과학적 음성 감정을 위한 최적 파라메터 도출
사진위변조 판독기법 및 시스템 개발
- 디지털 이미지 위변조 기법의 습득 및 구현
- 감정인의 숙련도 시험 실시
- 관련사건 현황 파악, 국내외 법과학기관 감정실태 파악
연구성과
- 디지털 증거물 인증 서비스 시행(2017.02.24.)
- “Use of atomic force microscopy in the forensic
application of chronological order of toners and stamping inks in
questioned documents”, Forensic Science
International, 261, 26-32 (2016)
- KTV국민방송 온에어대한민국, ‘증거는 팔자걸음 CCTV속 단서를 찾아라!’ 언론 보도
- 2016년 7월 보이스피싱 데이터 분석 관련 금융감독원 워크숍 개최
- 보이스피싱지킴이 웹페이지(http://phishing-keeper.fss.or.kr/) 내
“바로이목소리”의 결과 제공
기대효과
- 디지털 증거물 무결성 확보를 통한 수사기관의 신뢰성 확보 재고
- 문서감정의 객관적인 틀을 마련하고, 객관적 판단 기준을 정립하여 보다 향상된 감정 방법을 마련
- 법적 증거능력 강화 및 범인 검거율 향상, 범죄율 감소 효과 기대
- 개인 식별의 범위 확대
- 대량 음성 데이터에 대한 감정
교통
09 교통
국민안전과 교통안전 선진화를 위해 교통사고원인을 명확히 밝히고자 최근 교통안전법 제55조에 의한
디지털운행기록계(Digital Tacho Graph) 의무 장착과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제30조의 2에 의해
EDR(Event Data Recorder) 기록정보 공개의무화에 따른 DTG 및 EDR 장착 차량의 교통사고 발생 시
기록된 데이터 분석 및 해석으로 사고원인을 규명하는 감정기법을 확립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내용
- 사고기록장치(DTG, EDR 등)에 기록된 입력데이터(속도, 엔진회전수, 조향핸들 각도, 제동페달
작동여부, 가속페달 변위량, 엔진스로틀 열림량 등) 분석 및 연구
- 차 대 고정벽, 차 대 차 실제 충돌실험으로 사고기록장치의 데이터 분석 및 연구
- 다양한 사고기록장치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통합 분석 프로그램 개발
주요 추진과제
자동긴급제동장치(AEB) 실험
- 다양한 차종을 대상으로 Euro NCAP의 AEB Car-to-car 실험 진행
- 차종 별 AEB 기능 작동 시점, 감속도 등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화
시뮬레이터 환경 내 자동긴급제동장치(AEB) 기능 구현
- 시뮬레이션 환경 내 가상 레이더 및 카메라 장착 후 모델링
- 실차의 AEB 기능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AEB 모델링 진행
연구성과
- 다양한 차종에 대한 ADAS 및 센서 기능의 데이터베이스 확보
- 시뮬레이터 환경에서 AEB 기능 모델링 및 구현
- 실차, 시뮬레이션 간 AEB 기능 비교 검증 프로그램 제작
기대효과
-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감정 가능
- 자율주행 관련 사고에 대한 감정절차 확립
- 교통사고 유관기관과의 정보 공유를 통한 사고대처 능력 향상 기여